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바라보는 관심_돈과세상

TS·린드먼, AI 시대 VC 간접 수혜주 비교 분석

by 세둘기 2025. 4. 24.
반응형

***본문 내 종목명을 클릭하면 실시간 주가 확인이 가능합니다!!***

🔎 VC 상장사 간접 수혜주 분석 시리즈

이 시리즈에서는 퓨리오사 AI 등 정책 수혜 스타트업에 투자한 VC 상장사들의 전략과 기회를 분석합니다. 각 기업의 포트폴리오, 주가 흐름, 산업 민감도까지 꼼꼼히 짚어보며, 간접 수혜주의 본질적 가치를 찾아가는 투자 여정을 함께합니다. 이번 편은 ④ TS인베스트먼트·린드먼아시아 비교 분석입니다.

AI 산업과 피지컬 AI 정책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TS인베스트먼트, 린드먼아시아는 각각의 투자 전략과 포트폴리오로 간접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세 기업의 투자 방향, 정책 연계성, 주가 전략을 비교 분석하며, 투자자 관점에서 유의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합니다. 중소형 VC 상장사에 대한 구조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TS·린드먼, AI 시대 VC 간접 수혜주 비교 분석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입니다.

📌 컴퍼니케이·나우 IB 외 주목할 VC 2선

피지컬 AI 산업과 같은 구조적 산업 전환기에는, 해당 산업에 간접 투자한 VC 상장사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기존에 소개한 컴퍼니케이·나우 IB캐피털 외에도 주목할 만한 VC 세 곳, 즉 TS인베스트먼트, 린드먼아시아를 비교 분석합니다.

 

📊 TS인베스트먼트 (246690)

TS인베스트먼트는 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 기술 기반 스타트업에 다수 투자해 온 기업입니다. 특히 퓨리오사 AI의 협력사, 시스템반도체 후방 밸류체인에 대한 투자 경험이 있으며, 구조적 기술 성장을 선제적으로 포착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2024년 기준 운용 자산(AUM)은 3000억 원 이상이며, 기술특례 상장을 통한 수익 실현 사례도 다수 존재합니다. 실적 개선세가 뚜렷하고, 정책 테마주와 실적주를 겸한 강점이 있습니다.

📊 TS인베스트먼트(246690) – 2020~2024 재무구조 요약

📊 TS인베스트먼트 실시간 주가 확인

항목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YoY 변화
영업수익 157.8억 223.5억 272.5억 261.7억 176.0억 -32.8%
영업이익 100.6억 137.9억 116.4억 143.0억 22.0억 -121.0억
법인세차감전이익 99.4억 138.5억 105.8억 140.6억 26.4억 -114.2억
법인세 비용 21.6억 37.1억 21.1억 26.4억 3.1억 -23.3억
당기순이익 77.8억 101.5억 84.7억 119.7억 24.2억 -95.5억
계속사업이익률 49.3% 45.4% 31.1% 45.7% 13.8%

◆ 2020~2024 재무구조 분석 및 투자 전략

TS인베스트먼트는 AI,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 기술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투자해 온 국내 대표 벤처캐피털 상장사입니다. 특히 퓨리오사AI 같은 핵심 기술기업들과의 연계를 통해 피지컬 AI 시대의 간접 수혜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4년 들어 실적 측면에서는 다소 뚜렷한 하강 국면에 접어든 것이 확인됩니다.

최근 5개년 재무 데이터를 살펴보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TS인베스트먼트는 비교적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해 왔습니다. 영업수익은 2020년 157.8억 원에서 2023년 261.7억 원으로 꾸준히 증가해 왔고, 영업이익도 100억 원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수익 기반을 확보해 왔습니다. 그러나 2024년 들어 영업수익은 176억 원으로 전년 대비 -32.8% 감소, 영업이익은 22억 원으로 무려 -84.5% 급감, **당기순이익은 24.2억 원으로 -79.8%**나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벤처펀드 기반 수익 인식 특성상 펀드 운용 수익의 불규칙성과 IPO 회수 성과 지연 등 외부 변수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해석됩니다.

📊 TS인베스트먼트 실시간 주가 확인하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특히 2024년 수익 급감의 배경에는 투자 펀드의 평가이익 축소, 일부 보유 자산의 일회성 손실 가능성, 그리고 전반적인 IPO 시장의 위축 등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TS인베스트먼트가 전략적으로 진입했던 기술특례 상장 기반의 기업들이 본격적인 수익 반영 국면에 진입하지 못한 점이 단기 실적에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는 투자기업들의 상장 및 회수 성과가 도래할 수 있는 기반을 의미하기도 하며, 2~3년 시계열로 봐야 할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현재 TS인베스트먼트의 PBR은 0.8배 미만으로 하락한 상태입니다. 이는 과거 평균 수준(PBR 1.0~1.2)을 하회하는 수치로, 시장에서 과도한 디스카운트가 반영된 구간일 수 있습니다. 재무구조 상 고정 부채는 크지 않고, 수익률 또한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저평가 매수 전략이 가능한 타이밍일 수 있습니다. 특히 TS인베스트먼트는 퓨리오사 AI와 협력한 반도체 후방 밸류체인 기업에도 투자 이력이 있어, 정부의 AI 반도체 및 피지컬 AI 산업 육성 정책과의 간접 수혜 연계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다만, 투자자는 아래 리스크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벤처캐피털의 특성상 펀드 수익 인식의 변동성이 매우 크며, 기업 실적이 분기 단위로 크게 요동칠 수 있습니다. 둘째, 2025년 공매도 전면 재개 이후 TS인베스트먼트도 일부 기관의 숏 포지션 대상이 될 수 있어 수급 변화에 따른 단기 주가 급등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투자기업의 상장 일정이 지연될 경우, 실적 회수 시점이 늦춰지며 투자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TS인베스트먼트는 2024년 일시적 실적 저하 국면을 맞이했으나, 기술특례 기반 펀드의 중장기 회수 가능성, 정책 수혜 테마와의 정합성, 현재 저평가 구간에 놓인 밸류에이션을 종합할 때, 중장기 투자자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는 구간에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정확한 공시 기반 확인 경로

📊 린드먼아시아 (220180)

린드먼아시아는 국내외 성장 가능성 높은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동시에, 중국·동남아 시장과도 연계된 투자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K-바이오, K-콘텐츠, AI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에 대한 초기 투자가 특징입니다.

ESG와 사회적 가치 투자 흐름에도 민감하며, 최근에는 AI 기술 기반의 플랫폼형 기업들에 대한 포트폴리오 확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가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낮고, 중장기형 안정 성장 전략을 지향합니다.

📊 린드먼아시아(220180) – 2022~2024 재무구조 요약

항목 2022년 2023년 2024년
매출액 98억 원 97억 원 91억 원
영업이익 44억 원 34억 원 42억 원
당기순이익 35억 원 37억 원 34억 원
영업이익률 45.38% 35.17% 46.29%
ROE (자기자본이익률) 6.49% 6.63% 5.81%
ROA (총자산이익률) 5.36% 5.53% 4.91%
자산총계 661억 원 668억 원 700억 원
부채비율 21.12% 18.45% 18.19%
PBR 0.95배 1.09배 0.86배
PER 15.73배 10.88배 13.06배

📈 린드먼아시아 재무구조 분석 및 투자 전략 제안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는 최근 3개년(2022~2024년) 동안 매우 안정적인 수익성과 재무구조를 유지한 대표 벤처캐피털 상장사입니다. 매출액은 연평균 90억 원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 모두 35%를 상회하는 고수익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전년 대비 매출이 소폭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은 46.29%로 오히려 상승했으며, 이는 투자 운용 효율성과 내부 관리의 정교화를 방증합니다.

재무 안정성 측면에서도 린드먼아시아는 뛰어난 성과를 보여줍니다. 부채비율이 20% 미만으로 매우 낮고, 자본유보율은 800%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자기 자본 중심의 무차입 경영 체계를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외부 자금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산운용이 가능한 구조로, 시장 충격이나 금리 리스크에 비교적 강한 저항력을 갖추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와 함께 주당 지표 측면에서 보자면, 2024년 기준 **주당순자산가치(BPS)**는 4,674원이며,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86배로 시장 대비 저평가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현재 PER(주가수익비율)도 13.06배로 벤처캐피털 업종 평균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수익성과 안정성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기업으로서의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투자자 관점에서 볼 때, 린드먼아시아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유효합니다:

  1. 중기 보유 전략: 펀드 회수성과가 본격 반영되는 시점(보통 2~3년 내외)을 고려하면, 2024년 말~2025년 상반기 실적 개선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맞춘 중기 투자 전략이 적절합니다.
  2. 배당+성장 병행 전략: 현금배당 성향도 평균 1% 내외로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운용 수익 확대 시 주주환원 확대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보수적이면서도 수익 기대가 가능한 안정형 포트폴리오 구성 시 유리한 종목입니다.
  3. 정책 수혜 테마 연계 전략: 린드먼아시아는 ESG, AI 응용 산업, K-바이오 및 콘텐츠 플랫폼 기업에 대한 초기 투자를 활발히 진행 중이며, 정부의 산업 육성 정책 및 뉴딜펀드 후속 정책에 직접 수혜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남아 시장과 연계된 투자 경험은 향후 글로벌 VC 전략 확대에도 유리한 발판입니다.

📌 결론적으로, 린드먼아시아는 벤처캐피털 특성상 단기 이벤트성 이익보다는 중장기 성장성과 안정성, 그리고 정부 정책과의 전략적 정합성에 투자 포인트가 있는 기업입니다. 특히 AI+ESG+해외시장이라는 삼각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한 점에서, 단순 테마주와는 차별화된 가치 투자형 VC 종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비교 요약 및 투자전략

TS인베스트먼트린드먼아시아는 피지컬 AI 및 AI 응용 산업의 확산 국면에서 각각 다른 강점을 지닌 VC 상장사입니다. TS인베스트먼트는 단기 실적 및 정책 이벤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로, 기술특례 상장을 통한 수익 실현 경험과 공격적인 성장 포트폴리오가 특징입니다. 반면 린드먼아시아는 ESG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보수적이고 지속가능한 투자 철학을 바탕으로 중장기 안정성을 추구합니다.

실적 측면에서 보면 TS인베스트먼트는 2023년까지 고성장을 이어왔으나, 2024년엔 영업이익이 143억 원 → 22억 원으로 대폭 감소했습니다. 이는 펀드 회수 지연 및 IPO 부진의 영향으로, 단기 모멘텀 약화가 명확합니다. 반면 린드먼아시아는 2022~2024년 영업이익률이 35~46%로 꾸준히 유지되며, 시장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한 수익 안정성을 입증했습니다.

재무 안정성 측면에선 린드먼아시아가 명확히 우위에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2024년 기준 18.19%, 자본유보율은 845.41%로, 타 VC 대비 월등한 재무 건전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TS인베스트먼트도 고정 부채는 낮지만, 실적 변동성이 커 단기 리스크 대응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정책 연계성에서 TS는 반도체와 AI 분야의 직접 투자 경험이 있는 만큼, 정부 정책 수혜 시 테마주로 부각될 가능성이 큽니다. 린드먼은 AI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중장기 성장성 확보에 초점을 맞추며 정책 흐름에 실적 기반으로 응답하는 기업입니다.

투자 전략 요약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기업명 투자 분야 실적 흐름 전략 키워드 추천 투자 스타일
TS인베스트먼트 AI, 반도체, 바이오 2024년 실적 급감 정책 이벤트 민감, 저평가 회복 기대 단기+중기 혼합형
린드먼아시아 AI 응용, ESG, K-콘텐츠 3년 연속 안정 성장 중장기 가치주, 실적 연계 강화 장기 분산 투자자용

🔜 예고: 시리즈 마지막 편 – 종합 투자전략 정리

지금 시장은 테마가 아닌 구조에 반응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AI라는 키워드에 올라탄 종목보다, 실적과 정책을 연결 짓는 구조적 기반을 가진 벤처캐피털 기업에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TS인베스트먼트는 일시적 부진을 겪고 있지만 정책 테마의 정통 플레이어로 단기 반등 여지가 충분합니다. 린드먼아시아는 수익률은 낮지만 하방이 견고한 구조로, 예산 통과 및 정책 지속 시 복리 효과가 기대됩니다. ‘정책+재무구조+실적’의 삼각형 안에 있는 기업만이 2025년 시장 재편기의 중심에 설 것입니다. 단기 뉴스에 휘둘리는 매매보다 구조에 근거한 투자가 필요한 때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본 시리즈 전체에서 분석한 VC 상장사 5종을 바탕으로 정책 수혜주 선별 전략과 함께, 기관 수급·공시 이벤트 기반의 중장기 투자 전략을 정리합니다. AI 산업과 자본시장 구조 개편이 맞물리는 이 시점, 전략적 포지셔닝이 필요한 이유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

※ 본 콘텐츠는 투자 참고를 위한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법률적·재무적 자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VC 상장사 간접 수혜주 분석 시리즈

📚 퓨리오사 AI 관련 시리즈 전체 보기

※ 본 콘텐츠는 투자 참고를 위한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법률적·재무적 자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반응형